관련 기술자료
실내방수 고려사항
4.3.2.1 개요
실내방수의 목적은 지붕, 외벽, 지하외벽에서의 방수목적과는
반대로 실의 용도에 따라 사용되어지는 물이 실내로부터 실외로 누출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4.3.2.2 욕실
욕실에는 호텔, 주택 등과 같은 소규모의 욕실과 기숙사, 병원, 목욕탕 등과 같은 대규모의 욕실이 있고, 또한 형태도 여러 가지가 있다. 설치장소에서도 건물의 고층화와 함께 각층에 설치되는 경우와 관광시설 등과 같이 전망을 고려한 최상층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어 방수의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호텔, 공동주택 등의 욕실은 소규모에다 복잡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나쁘고, 개수도 많으므로 최근에는 합성수지제나 스텐레스제의 유니트 욕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방수층을 형성하는 욕실에는 단독주택이나 대규모의 대중목욕장 등이 대상이 된다.
욕실의 방수를 검토할 때에 유의하여야 할 점으로는 욕조의 역할이 항상 물을 받아두는 곳이므로 수압에 대한 검토, 사용하는 물에는 급탕, 비누물, 세제 등이 포함된 물이 있으므로 이것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가. 유니트 욕실
유니트 욕실은 공장 가공한 욕실의 내장재나 설비기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배관을 접속하는 것만으로 욕실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패널의 재질, 기구배관의 배열, 기능성, 시공성, 시공 후의 점검이나 보수 등과 같은 메인테넌스성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시공방법에 따라서 큐빅형과 패널형으로 구분되며, 큐빅형은 공장에서 대부분 조립된 상태로 반입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은 간편하나 운반상의 제약이 많고, 패널형은 현장에서의 조립에 시간을 요하나, 반입 방법이 간편하므로 공정상, 시공상의 제약이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어느 방법이던 방수성능은 부재 이음부의 시일링에 의존하므로
줄눈이나 배관주위의 시일링처리를 충분히 하여야 한다. 또한 욕실주위의 외부공간이 좁으므로
설치, 배관이음, 결로방지 등의 시공에 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나. 설치욕실
설치욕조란 세면장의 방수와 일체로 욕조에도 방수시공을 하는 것으로 대중 목욕장과 같은 규모가 큰 욕실이 이에 해당된다.
욕실의 수위가 세면장 바닥보다 높으면 급탕수가 바닥마감재와
방수층 사이로 흘러가게 된다. 또한 욕조의 최상부까지 방수층을 설치하지 않으면 잠복수압(잠복수에
욕조수위의 수압이 가세)이 생긴다.
다. 시공시 유의할 점
욕실의 공사는 공종수가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시공순서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고, 시공에 있어서는 모서리, 귀퉁이, 배수구, 배관주위 등의 시공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출입구 부근에서의 치켜올림 높이는 바닥 마감면 보다 높아지도록 설치한다.
벽면의 치켜올림 높이는 샤워나 수도전의 높이, 사용상황 등을 고려하여 여유있는 높이로 하고, 욕조가 밀착하는 벽의 경우에는 욕조 윗부분 보다 150㎜정도 높이 치켜올린다.
방수종별로는 액채방수, 아스팔트 방수, 합성고분자시트
방수, 도막방수 등이 사용가능하나, 시공상의 면에서 최근에는 합성고분자 시트방수,
도막방수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시공후에는 양생방법, 타공종에 의한 방수층의 손상방지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라. 욕실방수의 문제점
① 온탕 파이프의 위치와 방수층의 처리
② 샤워를 병설한 경우의 방수층의 높이와 시공 범위
③ 일반 벽면 쌓아올림부 방수층의 높이
④ 현장타설 콘크리트 욕조가 있는 경우 방수층이 시공범위
⑤ 출입구 샷쉬 둘레의 방수층의 마무리
4.3.2.3 화장실
최근 사무실 건물에서의 화장실 청소는 다량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걸레 등을 이용하여 닦아내는 정도의 청소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바닥재 또는 마감재도 어느 정도 방수를 기대할 수 있는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예가 많아져, 화장실 바닥높이를 일반실의 바닥높이와 같게 하고 본격적으로 방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졌다.
단, 사용빈도와 아래층의 실용도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본격적인 방수를 할 필요가 있다.
가. 방수시공법 및 방수재료
방수재로서는 아스팔트방수, 합성고분자 시트방수, 도막방수
등이 사용 가능하나, 면적의 대소, 형상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기타 시공 방법은
전술한 실내방수를 참고로 하여 정한다.
나. 시공시 유의사항
① 세면기 둘레의 바탕을 취하는 법과 방수층의 마무리
② 양변기 둘레의 방수층의 마무리
③ 출입구 샷쉬 둘레의 방수층의 마무리
다. 샤워실
특히 주의해야 할 문제는 방수층의 높이이다. 일반적으로
샤워 카란의 위치까지 방수층을 올릴 필요가 있다.
4.3.2.4 주방
주방에는 주택의 소규모 주방으로부터 식당과 같은 대규모 주방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소규모 주방에서는 방수를 하지 않는다.
주방의 방수는 수도, 온수, 증기 등과 같은 배수외에도 음식물 지꺼기의 처리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조리용 설비의 증설, 교환, 수리 등이 빈번하게 행해지므로 이러한 배관류는 방수층의 관통을 피하여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방내의 물은 바닥구배에 의하여 일단 하수구로 모여진 다음에 그리이스 트랩으로 모여져 음식지꺼기와 분리된 다음에 배수본관으로 흘러 들어가게 설계한다.
따라서 바닥 슬래브의 높이는 바닥구배, 배수구, 그리이스 트랩의 위치를 고려하여 이어지는 실의 바닥보다 충분히 낮게 한다.
방수층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치켜올림 높이는 마감면으로부터
30㎝정도가 좋다. 주방방수에서는 우선 그리이스 트랩의 설치가 가장 중요하므로 그리이스
트랩의 설치에 따른 방수시공상의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① 그리이스 트랩에는 슬래브 콘크리트와 일체로 한 콘크리트제 외에도 스텐레스제, 스틸제, 플라스틱제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있다.
② 내부에는 물과 기름, 음식 지꺼기 등이 적당히 분리되어 침전될 수 있도록 여러장의 격막판이 설치되어 있다.
③ 콘크리트제는 여유있는 규격으로 하여 시공이 간편하도록
하여야 하며,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좋다.
가. 방수시공 및 재료
주방의 방수재에는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방수, 합성고분자 시트 방수, 도막방수, 스텐레스 방수가 사용되나, 만일 누수 사고가 발행하였을 경우에는 옥상방수와 같이 국부적인 보수가 불가능하므로 가능한 한 좋은 품질의 방수재를 사용한다.
방수층의 시공에 있어서는 트랩과 주변, 각종 배관주위,
치켜올림 높이 등에 주의하여야 하며, 세로 배관과 직경이 작은 배관류 주의에서는 시공이
어려우므로 주의하여 시공한다.
나. 시공시 유의사항
① 온탕 파이프 둘레의 처리
② 그리이스 트랩부분의 방수층의 마무리
③ 일반 쌓아올림부의 방수층의 높이
④ 출입구부의 높이와 방수층의 마무리
⑤ 바닥배관의 설치와 방수층의 처리
4.3.2.5 주차장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주차장 시설은 경사로를 주행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램프식과 리프트 등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계식으로 나눌 수가
있다.
가. 주차장에 영향을 주는 물
① 강우, 강설시에 차량에 부착되어 들어오는 물(얼음, 눈)
② 경사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유입되는 우수
③ 세차나 청소 등에 사용된 물
④ 화재시에 스프링쿨러 등이 기동하여 생긴 물
이러한 물은 주차장의 규모에 따라서 수량이 달라진다.
나. 방수재료의 선택
유류 등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방수재를 선택할 때에는 내유성을 전제로 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고, 다설 지역에서는 융설용의 염화칼슘 등에 대하여도 고려하면 내염성도 있어야 한다.
내유성이 뛰어난 방수재에는 합성수지계, 모르터계 방수재가
있다. 고무계, 아스팔트계는 내유성이 떨어진다. 최근에는 우레탄이나 폴리에스텔계의
도막방수에 표면의 내마모성을 가미한 방수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 방수시공
경사로(램프)부분의 방수층의 치켜올림은 경사로의 마감면 보다 150㎜이상의 높이까지 올린다. 방수층의 누름에는 콘크리트가 많이 사용되나 구배가 있으므로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배근이 필요하다.
방수층의 마감으로는 보도용 타일, 쇄석 물갈기, 모르터 바름 등이 있으나 내마모성이나 마감재의 박리현상을 예상하면 콘크리트 제물치장이 적절한다. 최근에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계 등을 이용한 마감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경사로의 최하부에는 배수로를 설치하여 경사로에 유입되어진 물을 처리한다. 방수시공은 지붕과 같은 방법으로 하나, 특히 배수로와 트랩주위는 깊이에 비하여 폭이 좁으므로 방수층의 시공이 어렵고, 코너부분에서의 들뜸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급배수관 등이 관통할 경우에는 슬리브를 설치하는 것이
당연하나 병렬배치된 경우에는 파이프 스페이스를 두는 것이 좋다.
4.3.2.6 OA실 및 전산실
일반적으로 화재시의 소화방법으로서 사무실의 경우에는 실내소화전이나 스프링쿨러 설비, 물을 차단하여야 할 컴퓨터실이나 기계실의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가 사용된다.
상층에 사무실, 하층에 컴퓨터실 또는 기계실이 있을 경우에는 만일 상층의 사무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물을 사용하는 소화설비가 작동하였을 때에는 이 물을 하층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컴퓨터나 기계 등에 손상을 끼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최근 OA기기를 도입한 사무실 건물이 늘어나고 있어
이러한 OA기기가 정지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의 피해는 상당히 크므로 누수에 의한
피해방지를 위하여는 각층의 바닥의 방수를 하는 것이 인텔리젼트 빌딩이 되기 위한 하나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가. OA사무실의 방수방법
① 비닐바닥 타일, 비닐 시트, 가펫트 등을 슬래브 또는 모르터의 위에 직접 붙이는 방법
② 이중바닥 위에 비닐 바닥타일이나 타일 카펫트 등을 까는 방법.
③ 프리엑세스 바닥 위에 비닐 바닥타일이나 카펫트 등을
까는 방법.
나. 적정한 방수재료
OA실 바닥의 방수재료로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도막방수가 적합하다.
① 방수층의 시공에 화기가 필요하지 않고, 상온에서 시공이 가능하다.
② 공사중 또는 공사후의 보수가 간편하다.
③ 배관, 배선의 치켜올림에 대한 시공이 간편하다.
④ 바닥마감의 선택이 비교적 자유롭고, 직접 비닐타일
등을 바를 수도 있다
다. 방수설계 및 시공시 주의할 점
① 도막방수를 시공할 경우에는 방수를 하지 않은 부분이나
간막이벽의 아래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 주위는 60∼100㎜정도까지 방수층을
치켜올린다.
② 배수할 곳을 생각한다.
예를 들면 배수구를 설치하여 배수관과 직결하거나, 계단실을
이용하여 아래로 흘려 보내거나, 발코니 등 외부로 배출한다.
③ 상층으로부터 계단실을 경유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단실 입구에 배수로를 설치하거나, 실의 출입구에 레벨차를 두는 등의 처리를
한다.
④ 이중바닥의 아래에 도막방수를 시공할 경우에는 이중바닥의 지주를 세우기 전에 시공하는 것이 좋다.
이중바닥의 지주를 먼저 세우게 되면 도막방수층의 시공, 특히 보강용 시트의 시공이 어렵고, 이후에 지주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철거하기가 어렵다.